뇌과학26 아닐 세스의 '내가 된다는 것' 책 요약 (8장: 자기 예측) 우리가 '나'라고 느끼는 것 우리가 '나'라고 느끼는 것에는 여러 가지가 있어요. 그중 하나는 우리 몸과 직접 연결된 느낌이에요. 예를 들어, 우리는 때때로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물건을 마치 우리 몸의 일부처럼 느낄 수 있어요. 그리고 우리 몸에 대한 소유감, 즉 '이 몸은 나의 것'이라는 느낌은 다른 어떤 물건에 대해서는 느낄 수 없는 특별한 것이죠. 우리의 감정이나 기분도 이런 '나'의 일부라고 할 수 있어요. 기쁠 때나 슬플 때 우리는 그 감정이 우리 몸 안에서 일어나고 있음을 느낍니다. 이런 것들을 통해 우리는 몸이 아닌 다른 것들과는 다른, 살아 있는 존재라는 특별한 느낌을 갖게 돼요. 우리는 이 느낌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는 없지만, '살아 있다'라고 느낍니다. 일인칭 시점의 경험 우리가 세상을.. 2024. 4. 8. 아닐 세스의 '내가 된다는 것' 책 요약 (6장: 관람자의 몫) 통찰의 시대: 20세기 초 빈의 예술과 과학이 어우러진 지각적 경험의 탐구20세기 초 오스트리아 빈에서 시작된 지각적 경험의 심층구조 탐구는 쿠르트 괴델, 루돌프 카르나프,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등 빈학파 인사들과 미술사학자 알로이스 리글, 화가 구스타프 클림트, 오스카 코코슈카, 에곤 실레, 지그문트 프로이트 등 근대 문화와 학문의 선구자들이 참여한 모임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20세기 초 빈에서 예술과 과학은 서로를 보완하며 풍부한 지적 분위기 속에서 잘 어우러졌으며, 이 두 분야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인간 경험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특징적이었다고 신경과학자 에릭 칸델은 말했다. 그는 이 시기를 통찰의 시대 the age of insight라고 불렀다. 통찰의 시대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아이디어 중 .. 2024. 3. 19. 면역시스템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뇌가 면역 반응이나 염증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 독립된 요새로 여겨졌던 것은 사실입니다. 이는 뇌를 보호하는 혈액 뇌 장벽이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어느 정도 방어막을 제공한다는 사실에 기인한 것입니다. 이 장벽은 사실상 장벽이라기보다는 뇌혈관을 구성하는 특수한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큰 분자나 면역 세포가 혈액에서 뇌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제한합니다. 그러나 지난 10년 간 뇌와 면역계 사이의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이러한 이전의 관념은 크게 변화하였습니다. 이제 신경면역학은 가장 역동적인 연구 분야 중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뇌와 면역계 우리 몸을 지키는 첫 번째 방어선, 면역 체계는 각종 악의적인 침입자들로부터 우리를 보호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 2024. 3. 6. 뇌과학으로 본 스트레스 스트레스는 우리 삶의 어느 순간에서든 우리를 찾아옵니다. 시험을 보는 중이든, 스포츠 경기에 참여하고 있든, 친구나 적과의 다툼이 발생했을 때든, 스트레스는 누구에게나 익숙한 경험입니다. 그렇다면 스트레스는 왜 발생하는 걸까요? 우리에게 불쾌감을 주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스트레스에는 긍정적인 면이 있을 수 있을까요? 그리고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까요? 신경과학자들은 이제 뇌가 스트레스 상황에서 어떻게 조화롭게 화학반응을 일으키는지에 대해 이해하기 시작했습니다. 스트레스의 본질: 예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 스트레스를 단순히 압박감의 문제로 보는 것은 표면적인 이해에 불과합니다. 실제로, 스트레스는 우리의 기대와 실제 경험 사이의 불일치에서 기인하는 복잡한 현상입니다. 일상에서 마주치는 .. 2024. 3. 5. 이전 1 2 3 4 5 ··· 7 다음